109299

도안면 화성리 철도 위의 사람들

식별번호식 별 번 호  109299
   |  생산일생 산 일  1956.
   |  유형유     형  사진그림류
참고내용참 고 내 용  증평향토문화연구회가 향토문화와 역사를 발굴하기 위해 2005년 9월에 옛 사진 공모전을 하였다. 출품된 사진 중 기록성이 우수하다고 판단된 21점을 선정하였는데, 그중 하나이다. 당시 공모자, 사진의 등장인물, 내용에 대한 정보가 기록화되지 않았다. 연도 또한 정확하지 않다. 울어바위 마을은 울어바위가 있는 마을로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바위가 큰 소리를 내어 울었다고 하며 당시 안음현감 연충수(延忠秀)께서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물리친 사실이 동국여지승람에 전하고 있으나 1970년에 한글학회에서 간행한 에 의하면 주민들이 '우러바위'라 하지 않고 '우래바위'라고 발음하므로 마을 이름을 '우뢰바위'로 기록하고 있다. 우뢰바위라는 이름은 벼락바위를 한자로 기록한 것임을 쉽게 짐작할 수가 있으며 벼락 바위는 벼랑바위가 변한 것이다. 왜냐하면 이 마을이 이성산의 산자락에 있어 벼랑이 많은 지형이며 이 마을의 자연 지명에 '벼락골'이라는 이름이 아직도 전해오고 있다. 1910-1926년 36번 국도와 (구)충북선 철도가 놓이면서 바위는 매몰 파손되었고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1914년 인근 마을과 함께 화성리로 편입되었다.
관련 기록물
109332
109326
109335
109336
109337
109317
109306
109302
109320
109316
109297
109303
109329
109313
109305
109338
증평문화원 | 역사기록
109311
109331
109299
109333
109300
109304
109298
109334
109312
109323
109315
109322
109310

역사 기록

최건성 | 역사기록
최건성
김장응 | 역사기록
김장응
국사편찬위원회 | 역사기록
국사편찬위원회
미국메리놀아카이브 | 역사기록
미국메리놀아카이브
610172_0001
김영태
110107
증평군
610162_0001
김기환
김운기 | 역사기록
김운기
증평문화원 | 역사기록
증평문화원
강신욱 | 역사기록
강신욱
610179_0001
추영우
한국메리놀수녀회 | 역사기록
한국메리놀수녀회
국립중앙도서관 | 역사기록
국립중앙도서관
충북여성재단 | 역사기록
충북여성재단
국가기록원 | 역사기록
국가기록원
Trans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