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2.29.
JPANews
─ 22호, 과정의 集 ─
Archivist’s Talk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말이 다시 찾아 왔습니다. 올해 상반기 〈주간 증평〉은 증평역 100주년을 맞이해 16호를, 하반기에는 《증평, (   )집》 전시에 맞춰 이번 22호까지 발행했습니다.

   이번 〈주간 증평〉의 주제는 ‘과정의 集’입니다. 《증평, (   )집》 전시 공간의 탄생 과정과 사업에 참여한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을 살펴볼 수 있고, 증평을 찾아주신 관람객들의 소중한 방문 기록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

2023.12.29.
JPANews
─ 22호, 과정의 集 ─
Archivist’s Talk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말이 다시 찾아 왔습니다. 올해 상반기 〈주간 증평〉은 증평역 100주년을 맞이해 16호를, 하반기에는 《증평, (   )집》 전시에 맞춰 이번 22호까지 발행했습니다.

   이번 〈주간 증평〉의 주제는 ‘과정의 集’입니다. 《증평, (   )집》 전시 공간의 탄생 과정과 사업에 참여한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을 살펴볼 수 있고, 증평을 찾아주신 관람객들의 소중한 방문 기록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

/ 과정 아카이빙 /
전시 공간 사전 답사
/ 인 터 뷰 /
자문 회의
Play Video
이선옥 자문위원
 “ 시민들이 직접 괴산으로부터 독립했고, 주민이 역동적으로 활동해서 지금의 증평을 만들어온 그 역사를 1세대, 2세대, 3세대가 고스란히 알아가는 계기, 체험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그 가운데 증평기록관이 큰 역할을 해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
Play Video
유경남 자문위원
 “ 증평군 주민의 층위는 다양하잖아요. 계속 살았던 분들도 있고 새로 유입된 분들도 있는데, 모두가 하나의 프로젝트를 통해 각자가 즐길 수 있는 여러 가지 방식들이 다양하게 있었드면 좋겠다는 바람을 이야기했습니다. ”
/ 과정 아카이빙 /
증평 주민과 협업 아카이빙
/ 전시 공간의 변화 /
공간 설치
904805 905096
/ 전시 공간의 변화 /
콘텐츠 설치
904989 2023년 10월 23일 전시 현장 사진
방명록
증평, (
≡=
) 집
/ 증 평 극 장 /
전시 설치 타임랩스
/ 사 진 포 스 터  /
과정의 集
Translate
주간증평
22호
Archivist's Talk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말이 다시 찾아 왔습니다. 올해 상반기 〈주간 증평〉은 증평역 100주년을 맞이해 16호를, 하반기에는 《증평, (   )집》 전시에 맞춰 이번 22호까지 발행했습니다.

이번 〈주간 증평〉의 주제는 ‘과정의 集’입니다. 《증평, (   )집》 전시 공간의 탄생 과정과 사업에 참여한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을 살펴볼 수 있고, 증평을 찾아주신 관람객들의 소중한 방문 기록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증평, (   )집》은 증평기록관과 윗장뜰 마을의 거리, 그리고 옛 성모유치원에서 펼쳐졌습니다. 전시는 크게 세 단계를 걸쳐 완성되었습니다. 전시 현장을 점검하는 ‘사전 답사’를 거쳐 ‘새로운 전시 공간’이 만들어졌고, 전시 공간의 장소성과 특징에 맞춰 ‘기록 콘텐츠’가 설치되었습니다. 증평기록관은 이 모든 과정을 사진과 영상으로 꼼꼼하게 기록하였고 〈주간 증평〉을 통해 공개합니다.

《증평, (   )집》 전시 공간에 수록된 기록 콘텐츠들은 모두 증평 주민과 협업하여 수집‧생산‧채록한 것입니다. 주민들은 증평기록가를 중심으로 옛 증평은 물론 지금의 삶과 활동을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하며 지역 역사를 쓰고 있습니다. 이번 주 〈주간 증평〉에서는 주민들과의 협업 아카이빙 과정을 사진기록으로 공유합니다. 주민 주도 아카이빙의 더욱 자세한 이야기는 윗장뜰마을 디지털 기록관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호 ‘영상 인터뷰’에서는 《증평, (   )집》 전시의 자문위원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자문회의’는 전시 개막 전과 후, 두 번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 그 중 첫 번째 자문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유경남, 이선옥 선생님의 인터뷰를 통해 확인해 봅니다.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들은 다양한 방문 소감을 ‘방명록’과 ‘엽서 이벤트’에 담아 증평기록관에 전해 주었습니다. ‘증평’이라는 ‘집’에 대한 인상과 전시를 관람하며 느꼈던 감상, 기록을 통해 마주하게 된 역사적 기억이 잊지 못할 우리들의 이야기가 되어 또 하나의 기록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주간 증평〉은 이번 22호를 끝으로 잠시 쉬어갑니다. 그동안 〈주간 증평〉을 통해 수많은 증평의 역사와 주민의 기억과 함께하셨길 바랍니다. 증평기록관은 증평의 ‘지금’을 꾸준히 기록하면서 늘 한자리에 있겠습니다.
2024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3년 12월 29일 금요일
〈주간 증평〉

/ Archivist's talk /

한 해를 마무리하는 연말이 다시 찾아 왔습니다. 올해 상반기 〈주간 증평〉은 증평역 100주년을 맞이해 16호를, 하반기에는 《증평, (   )집》 전시에 맞춰 이번 22호까지 발행했습니다.

이번 〈주간 증평〉의 주제는 ‘과정의 集’입니다. 《증평, (   )집》 전시 공간의 탄생 과정과 사업에 참여한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을 살펴볼 수 있고, 증평을 찾아주신 관람객들의 소중한 방문 기록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증평, (   )집》은 증평기록관과 윗장뜰 마을의 거리, 그리고 옛 성모유치원에서 펼쳐졌습니다. 전시는 크게 세 단계를 걸쳐 완성되었습니다. 전시 현장을 점검하는 ‘사전 답사’를 거쳐 ‘새로운 전시 공간’이 만들어졌고, 전시 공간의 장소성과 특징에 맞춰 ‘기록 콘텐츠’가 설치되었습니다. 증평기록관은 이 모든 과정을 사진과 영상으로 꼼꼼하게 기록하였고 〈주간 증평〉을 통해 공개합니다.

《증평, (   )집》 전시 공간에 수록된 기록 콘텐츠들은 모두 증평 주민과 협업하여 수집‧생산‧채록한 것입니다. 주민들은 증평기록가를 중심으로 옛 증평은 물론 지금의 삶과 활동을 다양한 방식으로 기록하며 지역 역사를 쓰고 있습니다. 이번 주 〈주간 증평〉에서는 주민들과의 협업 아카이빙 과정을 사진기록으로 공유합니다. 주민 주도 아카이빙의 더욱 자세한 이야기는 윗장뜰마을 디지털 기록관에서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호 ‘영상 인터뷰’에서는 《증평, (   )집》 전시의 자문위원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자문회의’는 전시 개막 전과 후, 두 번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 그 중 첫 번째 자문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유경남, 이선옥 선생님의 인터뷰를 통해 확인해 봅니다.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들은 다양한 방문 소감을 ‘방명록’과 ‘엽서 이벤트’에 담아 증평기록관에 전해 주었습니다. ‘증평’이라는 ‘집’에 대한 인상과 전시를 관람하며 느꼈던 감상, 기록을 통해 마주하게 된 역사적 기억이 잊지 못할 우리들의 이야기가 되어 또 하나의 기록으로 남게 되었습니다.

〈주간 증평〉은 이번 22호를 끝으로 잠시 쉬어갑니다. 그동안 〈주간 증평〉을 통해 수많은 증평의 역사와 주민의 기억과 함께하셨길 바랍니다. 증평기록관은 증평의 ‘지금’을 꾸준히 기록하면서 늘 한자리에 있겠습니다.
2024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3년 12월 29일 금요일
〈주간 증평〉